서울 지하철 노조 ‘2차 파업’ D-1…서울 교통공사 노사 오늘 ‘막판 협상’
- 사회일반 / 김용진 기자 / 2023-11-21 11:15:39
인력 채용 문제로 난항
![]() |
▲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한 9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지하철 승강장에 열차 지연 안내문이 나오고 있다.(출처: 이투데이) |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사가 노조의 2차 총파업 예고일을 하루 앞두고 막판협상에 나선다.
서울교통공사 사측과 노조 연합교섭단은 오늘 오후 4시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에서 만나 본교섭에 들어간다. 연합교섭단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서울교통공사노조(제1노조)와 한국노총 공공연맹 소속 통합노조(제2노조)로 구성됐다.
앞서 연합교섭단은 사측과 최종 교섭을 진행했지만 끝내 협상 결렬을 선언하며 9~10일 ‘경고파업’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다만 파업 당일 한국노총 소속 노조(제2노조)는 파업에 불참하기로 하면서 민노총 소속 노조(제1노조)만 파업을 진행한 바 있다.
현재 노조는 22일부터 지하철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이번 파업은 지난 이틀간에 걸쳐 진행했던 경고파업과 달리 무기한으로 진행된다.
노조는 지난 15일 “지난 1차 경고파업 이후 지속해서 서울시와 공사 측에 입장 변화와 진지한 대화를 촉구했지만 갑자기 강력 대응 기조로 돌변했다”라며 “서울시와 사측이 대화를 중단하고, 공세 일변도로 나간다면 파업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 |
▲(출처:KBS) |
노사 양측간 핵심 쟁점은 인력 감축안이다. 현재 사측인 서울교통공사는 대규모 적자로 어려웠던 만큼 경영정상화를 위해 2026년까지 2211명의 인력을 감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반면 노조는 인력 감축이 지하철 안전과 시민 서비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노조는 나홀로 근무 방지를 위한 2인1조 보장 인력(232명), 수탁업무(360명), 정년퇴직 인력(276명) 등 868명의 신규채용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 파업 이후 사측과의 진지한 대화를 통해 채용 인원에 대한 차이를 줄이기를 원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고, 인원에 대한 입장 차가 크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당장 발생한 안전 인력 공백에 대한 최소한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열린 태도로 교섭에 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지하철 운행 횟수가 평일엔 4분의 1 가량이, 휴일엔 절반 가량이 감축 될 전망이다. 서울교통공사가 20일 올린 공지문에 따르면 현행 평일 운행횟수 3152회에서 파업시 2377회로 775회 줄어든다. 휴일의 경우 2631회에서 파업시 1526회로 1105회 줄어들 예정이다. 다만 평일 출근시간대인 오전 7시~9시까지 열차 운행률은 100% 수준을, 평일에는 83% 인력 수준을 유지한다.
서울시와 공사는 노조와 대화를 통한 협상의 여지를 열어두면서도 강경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 공사는 노조가 2차 파업에 들어간다면 파업 참가자 전원에게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공사는 이달 9~10일 파업에 참여한 민노총 소속 4470명에 대해 전원 무노동 무임금을 적용해 12월 급여 약 7억여 원을 삭감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지하철 총파업에는 공사 내 3개 노조 가운데 가장 조합원이 많은 1노조만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2노조인 통합노조는 경고 파업 불참에 이어 2차 파업에도 참여하지 않을 방침이다. 통합노조측은 “공사 측 합의안에 대한 내용이 변화가 없기 때문에 2차 파업에 참여한다는 것은 모순된 것”이라고 했다.
제3노조인 올바른노조는 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이 없으므로 파업에 참여할 수 없다. 다만 이날 노사가 막판 교섭을 통해 극적 타협을 한다면 파업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raykim1124@gmail.com
[ⓒ 한국온라인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