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년까지 에너지소비 14.4% 줄인다
- 생활경제 / 민경수 기자 / 2019-08-21 15:33:37
형광등 퇴출, 고효율 가전 제품 구매시 10% 환급
정부가 자발적 에너지효율목표제, 에너지효율 연관사업 육성 등 에너지효율을 개선해 2030년까지 에너지 소비량을 14.4% 감축키로 했다.
또한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형광등은 발광다이오드(LED)로 대체하거나, 매년 고효율 가전제품을 선정해 소비자에게 구매가의 일정비율을 환급해주는 등 고효율 제품 사용도 장려한다.
이외에도 승용차 평균 연비 수준을 대폭 향상하고, 한전 등 에너지공급자에게 에너지 절감목표 달성의무를 부여하는 효율향상 의무화 제도도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21일 경제활력대책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이 담긴 ‘에너지효율 혁신전략’을 확정, 발표했다.
![]()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혁신성장 전략회의에서 에너지효율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
이번 발표는 산업·건물·수송 전 부문의 에너지 효율 혁신을 바탕으로 다소비·저효율 에너지 구조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연관 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까지 도모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전체 에너지 소비의 61.7%를 차지하는 산업 부문에서 철강, 석유화학 등 주요 에너지 다소비 사업장의 효율 향상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에너지관리시스템(FEMS) 활용 확대를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특히 정부와 연간 에너지소비량이 2000TOE 이상인 다소비 사업장이 자발적으로 에너지원단위 개선목표(5년간 5%)를 협약하는 ‘에너지효율목표제’를 도입한다.
또 효율 우수등급 제품은 ‘으뜸효율’ 가전으로 선정해 소비자에게 구매가격의 10% 가량을 환급해주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형광등은 점진적으로 LED등으로 대체하는 방안도 추진되어, 2027년부터 제작되거나 수입된 형광등은 시장판매를 금지할 계획이다.
수송 부문은 기술개발,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통해 승용차 평균 연비를 2017년 ℓ당 16.8km 수준에서 2030년까지 28.1km로 67.3% 끌어올리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전략 추진을 통해 2030년 최종에너지 소비량을 현재 대비 14.4%(2960만TOE) 줄일 수 있다”며 “이는 2200만 가구 또는 중형 승용차 4000만대의 1년 소비량과 같고 서울특별시 연간 에너지 소비량의 2배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에너지 수입액을 10조8000억원 절감하고 에너지 효율 분야 일자리 6만9000개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한국온라인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