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동 의원, 탈원전 여파 한전 손실로 산은 BIS비율도 휘청
- 국회/정당 / 김정현 기자 / 2019-08-28 15:34:51
![]() |
▲ 김선동 자유한국당 의원. |
김 의원에 따르면 한국산업은행이 제출한 한국전력 손익 반영에 따른 BIS비율 변동 현황 자료를 살펴본 결과, ’15년의 경우 한전 이익 13조2000억원 중 산은연결 손익 5조원이 반영되어 산은 BIS비율이 무려 1.37%p나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재인정부 출범이후 ’17년 후반기부터 산은 연결이익이 4,00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13배 가량 급격하게 줄어들어 산은BIS비율 효과도 0.02%p로 급락하기 시작하였고, ’18년은 4천억원의 연결손실에 따른 –0.16%p로 마이너스로 전환, ’19년 하반기에도 4천억원의 연결손실에 따라 –0.14%p로 나타나는 등 한전 손실이 산은 BIS비율 하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김 의원은 이 같은 한전 경영손실에 대해서 한국산업은행은 한전 이사회를 상대로 아무런 견제와 감독기능을 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산은은 정부의 현물출자 등으로 한전 보통주 32.9%를 보유한 1대 주주이나, 보유 지분 32.9% 중 28.2%는 정부(산자부) 앞으로 의결권을 위임하여, 의결권 지분율은 4.7%로 주주로서의 관리ㆍ감독 및 의결권 행사에 제한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문재인정부는 한국전력공사 적자가 탈원전과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한전의 전력구입비 현황을 분석해 보면, ’16년 24.4%에 달하던 원자력 비중이 ’19년 1분기 15.3%로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자력발전 구입비의 경우 ’16년 10조4,892억원에서 ’18년 7조8,893억원으로 2조5,999억원 감소한 반면, LNG 구입비는 ’16년 11조9,975억원에서 ’18년 18조,4,511억원으로 무려 6조4,536억원이 증가하는 등 탈원전 정책으로 약 4조원을 허공에 뿌린 결과가 된다고 주장했다.
김선동의원은 “탈원전, 소득주도성장 등 문재인정부의 잘못된 정책 결정이 연쇄적 효과로 국가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한전 경영성과가 산은BIS비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의결권 없는 지분을 처분하든지 아니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책임경영을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한국온라인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