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쓰고 남은 전력, 육지로 보낸다
- 환경 / 이혜림 기자 / 2021-03-03 17:24:14
- 산업부, '지역 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발표
[한국온라인뉴스 이혜림 기자] 정부가 제주도에서 쓰고 남은 재생에너지 전력을 육지로 전송하기로 했다. 이는 과잉 생산되는 전력 때문에 강제로 재생에너지 발전기를 멈춰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제주도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분산에너지란 중소 규모의 재생에너지, 열병합발전, 자가 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전력 수요가 필요한 곳에서 생산돼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현재 '카본 프리 아일랜드(탄소없는 섬) 2030' 정책을 추진 중인 제주도에는 재생에너지 전력 과잉 생산 문제 해결이 시급한 상태이다.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출력 비중은 2016년 9.3%에서 2020년 16.2%로 높아졌다.
정부는 제주와 육지간 해저케이블( HVDC·고압직류송전) 2개 라인을 통해 제주도 내 남는 전력을 육지로 송전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산업부는 제주도내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이 최대 342MW(메가와트)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수소로 전환(P2G: Power to Gas)하거나 전기보일러 등을 통해 열에너지로 전환(P2H)하는 기술, 전기차 배터리를 ESS처럼 활용하는 기술(V2G) 등도 제주도에서 실증한다.
이번 달부터 제주도에서는 잉여전력을 소비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플러스 DR제도'를 도입한다. 이와 더불어 지역 특성을 반영해 다양한 에너지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맞춤형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도 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충남 홍성군 원천마을은 축산분뇨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인근에서 소비한다”면서 “이러한 사례를 제주도 내에서도 발굴하고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에 제주도 대책만 내놨으나 상반기 중 중장기 제도개선 방향을 종합적으로 담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온라인뉴스 이혜림 기자] 정부가 제주도에서 쓰고 남은 재생에너지 전력을 육지로 전송하기로 했다. 이는 과잉 생산되는 전력 때문에 강제로 재생에너지 발전기를 멈춰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제주도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분산에너지란 중소 규모의 재생에너지, 열병합발전, 자가 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전력 수요가 필요한 곳에서 생산돼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현재 '카본 프리 아일랜드(탄소없는 섬) 2030' 정책을 추진 중인 제주도에는 재생에너지 전력 과잉 생산 문제 해결이 시급한 상태이다.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출력 비중은 2016년 9.3%에서 2020년 16.2%로 높아졌다.
정부는 제주와 육지간 해저케이블( HVDC·고압직류송전) 2개 라인을 통해 제주도 내 남는 전력을 육지로 송전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산업부는 제주도내 재생에너지 수용 능력이 최대 342MW(메가와트)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수소로 전환(P2G: Power to Gas)하거나 전기보일러 등을 통해 열에너지로 전환(P2H)하는 기술, 전기차 배터리를 ESS처럼 활용하는 기술(V2G) 등도 제주도에서 실증한다.
이번 달부터 제주도에서는 잉여전력을 소비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플러스 DR제도'를 도입한다. 이와 더불어 지역 특성을 반영해 다양한 에너지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맞춤형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도 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충남 홍성군 원천마을은 축산분뇨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인근에서 소비한다”면서 “이러한 사례를 제주도 내에서도 발굴하고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에 제주도 대책만 내놨으나 상반기 중 중장기 제도개선 방향을 종합적으로 담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 한국온라인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