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민주항쟁 기념식, 첫 정부 주관행사로 열려

사회일반 / 강사윤 기자 / 2019-10-16 17:23:30
  • 카카오톡 보내기
민주항쟁관련자 등 3000여명 참석
국가 차원서 기념·계승해야 할 우리 민주주의의 역사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이 16일 오전 10시 경남대학교 대운동장에서 민주항쟁관련자 등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번 행사는 정부가 부마민주항쟁을 우리나라 4대 민주화 항쟁의 하나로 기념하기 위해 올해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후 개최한 첫 정부 주관 기념행사다.
 

▲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교 대운동장에서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부마민주항쟁은 부산지역과 경남지역(마산)의 학생과 시민들이 유신독재에 항거해 발생한 대규모 민주화운동으로, 1979년 10월 16일 부산에서 처음 발생해 같은 달 18일 창원(옛 마산)지역까지 확산됐다.

이후 부마민주항쟁은 5·18광주민주화운동과 6·10민주항쟁으로 이어졌으며, 4·19혁명과 함께 한국 현대사의 4대 민주항쟁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정부는 부마민주항쟁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민주·인권·평화의 가치를 계승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국가기념일을 추진하면서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범국민 추진위원회 발족과 전국적 서명운동 실시, 지방의회 촉구결의안 채택 등의 과정을 거쳤다.

이 결과 지난 9월 17일 국무회의에서 부마민주항쟁 기념일 제정을 심의·의결했고, 같은 달 24일에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게 되었다.

올해로 40주년을 맞이하는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은 ‘1979-2019 우리들의 부마’를 주제로 부마민주항쟁의 의미와 정신을 과거가 아닌 현재의 우리가 기억하고 계승해야 한다는 ‘공감과 연결’의 메시지를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두개의 공연이 열렸는데, 첫 번째 ‘그날의 부마’ 공연은 실제 부마민주항쟁의 사건별 영상과 함께 송기인 부마민주항쟁 기념재단 이사장의 경과보고로 진행했다.

영상은 부산대·경남대 재학생 200여명이 당시 주요장면을 재현해 항쟁의 역사적 현장을 생생하고 입체적으로 전달했고, 항쟁 참여자와 가족의 사연을 담은 증언영상 및 뮤지컬·연극배우들의 ‘우리들의 부마’ 합창으로 현재까지 이어져온 항쟁의 아픔을 공유했다.

또 두 번째 공연 ‘민주의 불꽃’은 배우 조진웅씨가 당시 <국제신문> 기자로 항쟁의 대열에 섰던 故임수생 시인의 ‘거대한 불꽃 부마민주항쟁’을 낭송한 후, 민주주의의 불꽃이었던 부마민주항쟁의 의미를 전달하고자 박은주 소프라노와 부산시립합창단이 신경림 시 ‘햇살’을 합창했다.

기념식의 마무리는 부마항쟁 당시 시위대가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개사해 활용했던 것에 착안해 해당 노래를 ‘우리의 소원은 자유/민주/통일’로 개사해 제창했다.

특히 제창은 옛 전남도청을 배경으로 광주의 선창과 기념식 무대의 후창, 이후 광주와 기념식 전 출연진 및 객석의 대합창 순으로 진행되면서 민주화운동의 연대성과 현장감을 동시에 전달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전 경남 창원시 경남대학교 운동장에서 열린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서 당시 마산시위에 참여했던 옥정애 씨(왼쪽)를 격려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이날 행사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4·19혁명, 부마민주항쟁, 5·18광주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과 2016년 촛불혁명에 이르기까지 우리에게 민주항쟁의 위대한 역사가 있는 한 어떤 권력도 국민 위에 군림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모든 권력기관은 조직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국민을 위해서 존재한다는 민주주의의 상식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정부는 부마민주항쟁의 진상규명과 피해자들의 명예회복, 보상에 더욱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부마민주항쟁은 부산·경남·창원지역만의 민주화운동이 아닌 국가 차원에서 기념하고 계승해야 할 우리 민주주의의 역사”라며 “국가기념일 지정이 늦은 만큼, 다른 민주화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부마민주항쟁의 역사적 의미를 높이고 민주정신을 계승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한국온라인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